한민족&한국인 스토리

K-라이스벨트 사업 통해 아프리카서 벼 종자 2321톤 ‘첫 수확’

농수축산신문 2024.03.26 지난해부터 추진한 아프리카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처음으로 아프리카 현지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 2321톤을 생산하는 성과를 거둠으로서 아프리카 3000만 명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의 토대가 마련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최근 지난해 개시된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6개 국가에서 벼 종자 총 2321톤을 처음으로 수확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K-라이스벨트 사업은 쌀 생산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국가를…

한일 간 독도문제의 본질은 냉엄한 국제정치의 논리

# 본 칼럼은 필자가 지난 6월 23일(금) 사단법인 《대한사랑》이 ‘국경사(國境史) 연구로 반도사관(半島史觀)을 혁명한다’ 라는 주제로 주최한 ‘2023 대한국제학술문화제’에서 ‘한일 간의 독도문제’가 발발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과 그 배경을 밝히는 『샌프란시스코대일평화조약과 미국의 독도정책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논문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이번 학술대회를 주최한 《대한사랑(윤창렬 이사장)》은 2014년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어 잃어버린 우리 문화와 역사를 되찾고, 한국사의 국통맥을 바로 세워 대한의 밝은 미래를…

오로치족 제사문화

** 이 글은 소련 민속학자, 인류학자 바실레브 보리스 알렉산드로비치 (Vasilev Boris Aleksandrovich, 1899~1976)가 『소련민속학』 (№ 3, 1940, 161~171쪽)에 실은 논문 ‘연해주 오로치족의 전통 사냥 방식(Старинные способы охоты у приморских орочей)’의 내용을 요약, 소개한 것이다.   1. 한민족 신관과의 유사성 20세기 초반까지 원시적인 성격을 유지해온 러시아 소수민족인 오로치족과 나나이족의 정신문화는 상고시대 한민족 정신문화와 두 가지 측면에서…

프랑스인들의 족보열풍

글: 증산도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원문)   센 마리팀 도 알루빌-벨포스 코뮌의 혁명기 호적부   필자가 예전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하면서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놀란 것 가운데 하나가 프랑스인들의 족보연구 붐이었다. 프랑스인들이 역사를 좋아한다는 말은 익히 들은 바 있지만 역사학자가 아닌 많은 일반인들이 고문서보관소(archives)에 와서 고문서를 열람하는 것이다. 물론 그들이 보는 문서는 대부분 호적부이다. 참고로 호적은 불어로는 ‘에타…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2

증산도사상연구소 전원철 연구위원 (원문) 우선 가락국과 대가야국의 기원에 관해 고려 초에 편찬한 《사기》와 <유사> 류를 비롯하여 그 뒤 조선 시대에 기록한 여러 사서들 중 《기언》의 상기 부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석이정전釋利貞傳〉에 이르기를, “대가야는 초기에 신녀神女가 있었는데, 이비가夷毗訶에게 감응하여 뇌질주일腦窒朱日과 뇌질청예腦窒靑裔를 낳으니, 이들은 하늘과 땅의 기운으로 탄생한 것이다. 주일은 대가야의 군왕 이진아치伊珍阿致이고, 청예는 [*그의 형인] 가락의 시조 김수로이다.” 하였는데, 이는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신녀神女는 《국역…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1

증산도상생문화연구소 전원철 연구위원 (원문) 고대사에서 우리 한민족사뿐만 아니라, 일본사와 연관해서도 중요한 우리 고대국가가 육가야 연맹이다. 이 가야연맹은 시조 김수로가 세운 가락국을 포함하여 그의 여섯 형제들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들이다. 이 중 대표적인 나라인 가락국은 시조 김수로왕을 1대로 하여 모두 10세대 491년을 전하였으나, 신라에 통합되어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단, 이 가락국 왕가의 가문인 ‘김해김씨’는 우리나라의 가장 큰 제1 대성이고 그 뒤 신라, 고려 그리고 조선과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재들을…

한민족·한국인은 누구인가 ②

북방 아시아인 주류…남방계도 상당수 정책브리핑 2005.02.19 첫째는 북방기원설이다. 이 설은 20세기 전반 서구에서 불기 시작한 문화 단일기원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민족의 문화요소들 중 이른바 북방문화 요소들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에 기원을 둔다. 강원대학교의 주채혁 박사는 여기에서 의미하는 북방이란 동시베리아나 만주지역을 가리키며 현재 중국의 서쪽 즉 만리장성 연선(沿線)을 포함하는데 기본적으로 유목생활을 하던 민족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쉽게 말해…

한민족·한국인은 누구인가 ①

한민족·한국인은 누구인가 ① 2005.02.14 한민족은 누구인가 즉 한국인의 기원과 형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인’과 ‘한민족’의 개념의 차이가 무엇인가를 규정해야 한다. 한국인은 한민족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entity)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한국인의 뿌리는 한국 민족형성 바로 전 단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민족은 하나의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데 한민족은 그런 의미에서 한국어와…